상단영역

미디어협동조합 시그널

본문영역

"게임 산업 이득 최대화, 게임중독 손실 최소화...이용자·공급자·정책 각 차원 제시" 경기연구원 보고서 발간

■ "이용자, 현실공간 면대면 접촉 늘리며 게임 활용 위해 가족·친구·동료 함께 즐겨야"
■ "정책 측면에선 e스포츠 발전시키는 투자와 선진적 게임 문화 확산 힘써야"
■ "게임이 삶의 질 제고에 기여 측면 대한 구체적 논거 제시 필요"

  • 기자명 최만섭
  • 입력 2019.10.21 14:45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경기연구원 로고 / 경기연구원 제공
경기연구원 로고 / 경기연구원 제공

(경기=최만섭 기자) 지난 5월25일 세계보건기구(WHO)가 게임 중독을 질병으로 분류한 이후 국내에서 폭발적으로 불붙은 게임 규제 논쟁과 관련, 경기연구원(원장 이한주)이 이용자, 공급자, 정책 세 차원의 대안을 제시한 보고서인 <게임 산업의 득과 게임 중독의 실>을 발간했다. 

경기연구원은 이 보고서에서 게임 중독을 둘러싼 쟁점을 살펴본 후, 갈등을 최소화하는 방안과 함께 시사점을 도출했는데 이를 요약하면 게임 산업의 이득을 최대화하고 게임 중독의 손실을 최소화하는 방안을 이용자, 공급자, 정책 세 차원으로 구분해 찾겠다는 것이다.

우선 이용자 측면에서는 현실공간의 면대면 접촉을 늘리는 방향으로 게임을 활용하기 위해 가족, 친구, 직장동료가 다 함께 즐기는 게임 문화를 확산할 것을 제시한다. 

공급자 측면에서는 게임 중독 논란을 탈피할 수 있는 산업의 구조적 변화가 필요함에 따라, 혁신보다는 대기업 위주로 고착된 게임업계가 5G 등 정보통신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사회 전반으로 시너지를 내야 한다는 주장이다.

마지막으로 정책 측면에서는 e스포츠를 발전시키는 투자와 선진적 게임 문화 확산을 예로 들었다. 게임을 단지 중독 또는 과몰입의 대상이 아니라 건전한 스포츠 또는 문화콘텐츠로 육성하자는 얘기다. 판교에 조성 중인 ‘경기e스포츠경기장’은 선진적인 게임 문화 확산에 좋은 예가 되고 있다.

한편 세계보건기구의 게임 중독 질병코드 분류 결정 이후 문화체육관광부와 게임업계는 게임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 확산과 규제 강화 등으로 인한 산업 침체를 우려하고 있다. 반면 보건복지부와 의료계는 국제질병표준분류기준 발효를 대비해 총리실 산하 국무조정실을 중심으로 민관 협의체를 추진할 것을 발표하는 등 반응이 크게 상반된다.

의료계가 게임에 대한 과도한 중독으로 인해 일상생활을 정상적으로 영위할 수 없는 해악을 우려하는 반면, 게임업계는 게임에 몰입할 수밖에 없게 하는 사회적 외부 요인을 지적하고 있다. 경쟁사회로 인한 스트레스 등으로 여가활동으로 게임 등을 즐긴다는 것이다. 

MBC 백분토론에서 '대도서관' 등의 패널들이 공방을 펼치고 있다 / MBC TV 화면 캡처
MBC 백분토론에서 '대도서관' 등의 패널들이 공방을 펼치고 있다 / MBC TV 화면 캡처

청소년과 청년들은 게임을 또래집단과 사회활동의 연장선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다른 의미 있는 여가활동을 찾지 못한 채 시간을 때우고 단순한 재미를 얻기 위해 몰입하는 경향이 있어 보다 전향적인 대책이 필요하다.

한편 게임업계의 경우, 최근 빠르게 성장한 모바일 게임을 중심으로 2017년 국내 게임시장 규모는 연평균 7.8% 증가해 13조원을 돌파하는 등 성장세가 지속됐으나 중국 게임산업 성장, 세계보건기구 게임 중독 질병코드화 등은 국내 게임시장 성장세를 둔화시키고 관련 산업에 피해를 줄 것으로 예측된다.

연구를 수행한 김영롱 경기연구원 연구위원은 “다양한 플랫폼을 바탕으로 변화하고 발전하는 게임의 장르별 특성에 맞는 분석과 진단이 필요하며, 게임이 삶의 질 제고에 기여하는 측면에 대한 구체적인 논거 제시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미디어협동조합 시그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