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미디어협동조합 시그널

본문영역

이재명 지사 "4차 산업혁명 시대, 플랫폼 노동자 보호법령 시급"

■ 이 지사 "新 노동형태, 법령이 못 따라가...제대로 대우·보호 못 받는 노동자 현실 갈수록 심화"
■ "노동3권 보호장치 유럽에 크게 뒤져...실질 노동자, 형식상 보호법령 적용 범위 밖에 있어"
■ 정성호 "사각지대 놓인 플랫폼 노동자 제도적·법적 보호 첫 행보"
■ 김병욱 "플랫폼 노동자 토론회, 국회 환노위·기재위 주도 했어야...이 지사에 선수 뺏겨"

  • 기자명 전재형
  • 입력 2019.12.19 19:12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19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경기도 플랫폼 노동정책 토론회’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 사진=경기도 제공

(경기=전재형 기자) “평택시 인구가 50만명 정도 되는데 플랫폼 노동자 수가 평택시 인구에 육박하거나 더 넘어서고 있다고 한다. 새로운 노동형태가 생겨나고 있지만 법령이 따라가지 못하면서 많은 노동자들이 보호받지 못하고 있는 현실인 것 같다”

이재명 경기지사는 19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경기도 플랫폼 노동정책 토론회’에서 이같은 의견을 피력하면서 “실질적으로 노동자이면서도 형식상으로는 노동자가 아니다보니 보호 법령이 적용되지 못하는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것인지가 중요한 과제로, 4차산업혁명 시대에는 문제가 더 심각해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그러면서 이 지사는 "우리나라는 노동3권에 대한 보호장치가 유럽에 크게 뒤져 있다. 실질적인 플랫폼 노동자들이 형식상으론 보호법령의 적용 범위 밖에 있다"며, "새로운 형태의 노동을 보호하고 정당한 노동의 대가를 보상받을 수 있도록 각별한 관심을 가져주길 부탁한다”고 당부했다.

이날 국회 토론회엔 정성호·김병욱 의원 및 한국대리운전협동조합, 전국퀵서비스노동조합, 배달의 민족 등 앱 서비스 노동자 및 제공자, 경기도 내 노동조합, 시·군 비정규직노동자지원센터, 광역시도 및 시·군 노동정책 담당자 등 플랫폼 노동자 100여명 등이 참석해 토론 열기를 더했다. 

정성호 의원은 “사각지대에 방치되고, 보호로부터 떨어진 플랫폼 노동자들을 위해 각별한 관심을 가지고 적극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려는 경기도의 노력이 사회의 변화와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고 생각한다”며 “오늘 토론회가 플랫폼 노동자들의 법적, 사회적, 제도적 보호를 위한 첫 발걸음이 되도록 경기도와 협력하고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김병욱 의원은 “플랫폼 노동자를 위한 토론회는 국회, 특히 환노위·기재위가 주도 했어야 하는데 이재명 지사에 선수 뺏겼다"고 말해 분위기를 띄운 뒤 "세계가 빠르게 변하면서 경제 패러다임도 제조, 금융을 넘어 많은 유저를 보유한 플랫폼 쪽으로 옮겨가고 있다”며 “한국에서도 유럽과 같은 노동법이 빨리 설립돼야 하며, 플랫폼 노동자에 관한 아젠다를 국회에 띄운 시대정신에 감사를 전한다”고 말했다.

이날 토론회에서는 김성혁 전국서비스연맹 정책연구원 원장이 ‘플랫폼 노동실태와 과제’를 주제로 발표를 진행한데 이어 백승렬 ㈜어고노믹스 대표의 ‘플랫폼 노동자 권익보호를 위한 지방정부의 역할’ 주제발표가 연이어 진행됐다.

이어 배규식 한국노동연구원 원장이 좌장을 맡은 패널토론에서는 ▲이현재 배달의민족 부사장 ▲박정훈 라이더 유니온 위원장 ▲이호근 전북대 교수 ▲이문호 워크인조직혁신연구소장 ▲이상국 한국대리운전협동조합 총괄본부장 ▲이순갑 한국노총 경기본부 교육국장 ▲박현준 경기비정규직지원센터 센터장 ▲박영일 전국퀵서비스노동조합 위원장 등이 토론자로 나서 열띤 논의를 펼쳤다.

특히 이날 패널토론에서 이현재 배달의민족 부사장은 모든 라이더를 대상으로 한 100% 산재보험 혜택 제공, 라이더 안전교육, 기금조성 등 ‘사각지대’ 해소를 위해 추진 중인 다양한 노력들을 소개하기도 했다.

이날 참석자들은 주제발표와 패널토론에서 제시된 다양한 의견을 경청하며, 플랫폼 노동자 등 새로운 형태의 노동자들을 위한 합리적 대안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해보는 시간을 가졌다.

한편, 한국고용정보원에 따르면 국내 플랫폼 노동자는 47만~54만명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경기도는 지난 7월1일 노동국을 설치한 이래 경기이동노동자 쉼터 4개소를 조성하고, 이동노동자 무더위 쉼터 259개소를 설치하는 등 플랫폼 노동자들의 휴식권 보장을 위한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저작권자 © 미디어협동조합 시그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