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미디어협동조합 시그널

본문영역

경기도미술관, ‘세월호 참사 7년’ 예술로 추모

“희생과 슬픔 위로하는 메시지 담아“...4월 16일~7월 23일간 ‘진주 잠수부’ 특별전

  • 기자명 편집부
  • 입력 2021.04.16 14:17
  • 수정 2021.04.16 14:38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김지영 작가의 ‘붉은 시간’. 사진 경기미술관 제공.
김지영 작가의 ‘붉은 시간’. 사진 경기미술관 제공.

[시그널=예수종·최마 기자] 경기도미술관이 세월호 참사 7주기를 맞아 이달 16일부터 7월 23일까지 야외조각공원과 프로젝트갤러리에서 ‘진주 잠수부’ 특별 추념전을 개최한다.

최평곤 작가의 가족. 사진 경기미술관 제공
최평곤 작가의 ‘가족‘. 사진 경기미술관 제공.

“세월호 참사, 오랫동안 의미 있게 기억되기를”
전시를 기획한 이수영 학예사는 “진주 잠수부의 전시 제목은 한나 아렌트가 발터 벤야민을 애도하면서 쓴 글의 제목에서 가져왔다”며 “이는 깊은 사유의 방식을 뜻하는 한편, 과거의 것들이 오래 기억돼 먼 미래에도 그 의미를 건져 올릴 수 있기를 소망하는 뜻을 담았다”고 밝혔다.

경기도미술관과 재단법인 4·16재단이 공동주최한 이번 ‘진주 잠수부’ 특별전은 우리 공동체가 함께 겪는 여러 재난에 대해 깊이 생각해보고, 그 희생과 슬픔을 위로하는 메시지를 담았다.

한국 현대미술작가 9팀(14명)의 작품 13점이 선을 보여, 관람객들은 회화·설치·건축 등 다양한 작품들을 만나볼 수 있다.

임주현 4·16재단 사무처장은 “경기도미술관은 세월호 유가족에게 의미 있는 공간이자, 희생된 아이들에게 나름의 추억을 남긴 공간이기도 하다”며 “3개월간 이러한 중요한 공간에서 기억에 대한 전시를 한다는 것과 그 의미가 많이 알려졌으면 한다”고 소회를 밝혔다.

박다함 작가의 ‘2013.12.20-2014.11.24’. 사진 경기미술관 제공.
박다함 작가의 ‘2013.12.20-2014.11.24’. 사진 경기미술관 제공.
배형경 작가의 '인간은 태어나서, 살다 죽는다'. 사진 경기미술관 제공
배형경 작가의 '인간은 태어나서, 살다 죽는다'. 사진 경기미술관 제공.

이번에 출품된 작품 대부분은 세월호 합동 분향소가 있던 주차장 부지와 공원 등 야외에서 관람할 수 있는 조각 전시로, 다수가 경기도미술관이 의뢰해 만든 신작들이다.

주요 작품으로 세월호 합동 분향소가 있었던 주차장 부지에 소금으로 선을 그리고 다시 그것을 지우는 퍼포먼스를 통해서 슬픔의 모양과 질료를 탐색한 박선민 작가의 ‘그리면서 지워지는 선’을 만나게 된다. 관람객은 QR코드 스캔을 통해 모바일에서 33분간의 퍼포먼스 영상을 감상하게 된다.

미술관 앞마당엔 최진영 건축가가 설계한 ‘파빌리온 윗 위’가 설치돼 있다. 이 설치 작품의 계단을 밟으며 위로 올라가는 행위와 전망대에서 먼 곳을 바라봄으로써 관람객의 시선을 과거의 분향소가 자리한 곳으로 이끈다.

대중음악 디제이로 활동하는 박다함 작가의 ‘2013.12.20-2014.11.24’는 여러 개의 스피커로 구성한 사운드 시스템을 야외에 설치해 2014년 대중음악을 믹싱하여 과거의 시간을 환기한다.

예술단체 언메이크랩의 '바닥 추모비’. 사진 경기미술관 제공.
예술단체 언메이크랩의 ’바닥 추모비’. 사진 경기미술관 제공.
이소요 작가의 ’콜로포니’. 사진 경기미술관 제공
이소요 작가의 ’콜로포니’. 사진 경기미술관 제공.

“공동체의 희생과 슬픔 위로하는 메시지 담아”
유일한 실내 작품인 김지영 작가의 ‘붉은 시간’은 오랫동안 촛불을 관찰하고 명상하여 초가 지닌 다양한 모양과 색, 열감을 포착해 그린 작품이다. 심지가 타들어 가는 동안만 빛을 발할 수 있는 초는 유한한 개개인의 삶의 시간을 의미한다.

이소요 작가는 소나무의 송진으로 조형물을 만들어 설치한 신작 ‘콜로포니’를 새롭게 선보인다.

다섯 명의 조각가로 구성된 ‘믹스 앤 픽스’는 조각에서 불가능한 조건으로 여겨졌던 ‘물’을 조각의 한 요소로 끌어들여 만든 ‘매일매일 기다려’를 내놓는다.

박선민 작가의 '그리면서 지워지는 선'
박선민 작가의 '그리면서 지워지는 선'. 사진 경기미술관 제공.
최진영 작가의 윗 위 파빌리온. 사진 경기미술관 제공
최진영 작가의 ’윗 위 파빌리온’. 사진 경기미술관 제공.

미술관 주차장에선 17일 예술단체 ‘언메이크랩’이 아스팔트 바닥에서 지워진 분향소 자리의 흔적을 찾아내고 검게 칠하는 퍼포먼스 ‘바닥 추모비’가 선보인다. 이를 통해서 우리의 애도의 방식에 대해 다시 생각해보며 그 이후에 남은 것들에 대해 질문한다.

아울러 경기도미술관은 기존에 10여 년간 설치한 조각 작품인 배형경 작가의 ‘인간은 태어나서, 살아 죽는다’와 최평곤 작가의 ‘가족’도 이번 특별전에 포함했다.

경기도미술관은 코로나19 상황에 따라 온라인 예약제를 통해 제한된 인원으로 관람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입장료는 무료다.

전시회 포스터. 사진 경기미술관 제공.
전시회 포스터. 사진 경기미술관 제공.

‘진주 잠수부’ 특별전 작품 대부분이 경기도미술관 야외조각공원에 설치되어 있어, 관람객들이 코로나 위험에 더 안전하고 편리하게 관람할 수 있다.

참고로 경기도미술관은 경기 안산 단원구에 소재한 공립 미술관으로 세월호 참사 희생자 304명 가운데 261명이 다닌 단원고등학교를 바라보고 있으며, 이곳 주차장엔 4년간 세월호 합동 분향소가 자리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미디어협동조합 시그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