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미디어협동조합 시그널

본문영역

활의 모든 것-3편 [김광훈 칼럼]

  • 기자명 양동균 명예
  • 입력 2019.01.21 20:37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미디어파인=바이올리니스트 김광훈의 클래식 세상만사]

 

▲Yannick Le Canu 바이올린 헤드

 

새 활에 관하여

 

지난 호에서 소개드린 새 악기와 달리 새 활은 전문 연주자들 사이에 (새 악기에 비해) 보다 친근한(?) 상대다. 새 악기를 메인 악기로 취급하여 콘서트홀에서 적극적으로 사용하는 경우는 여전히 드물며 그러한 연주자들은 쉬 스포트라이트를 받게 마련이지만, 전문 연주자들의 악기 케이스 혹은 컬렉션에서 현존하는 활 제작자들의 활을 발견하기란 어렵지 않다. 비단 수집의 개념일 뿐만 아니라 적극적으로 현장에서 사용하는, '현재진행형‘의 물건인 셈이다.

 

앞서 언급한 율리아 피셔가 즐겨 사용하는 비엔나 제작자, 토마스 게어베트(Thomas Gerbeth)의 활이나, 율리안 라흘린의 다니엘 슈미트(Daniel Schmidt), 혹은 프랑크 페터 침머만이 애용한다는 베를린 제작자 티노 루케(Tino Lucke)의 활들은 우리가 알고 있는 올드 프랑스 활이 아니나 세계 최고의 현역 연주자들에게서 사랑받는 제작자이다. 그렇다면 어째서 새 악기와 달리 새 활이 이렇게 각광을 받을 수 있는가에 대해 알아보지 않을 수가 없는데, 활은 악기와 달리 ‘에이징(Aging, 나이 먹음)’이 필요 없다는 점에서 가장 큰 이유를 찾을 수 있다.

 

즉 새 악기와 다르게 새 활은 나무의 상태가 거의 변하지 않으며, 따라서 시간이 지난다고 해서 나빴던 활이 좋아진다거나, 좋았던 활이 나쁘게 변하는 등의 ‘변화’가 발생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갓 만들어진 활이라도 좋은 것은 즉시 좋고, 나쁜 것은 시간이 흘러도 여전히 나쁜 상태로 남게 된다. 우리에게 활 보증서로도 유명한 Millant의 활이나 많은 전문 연주자들이 사용하고 있는 Rolland, Salchow 등의 활들은 이미 수집의 개념까지 포함되어 있어서, 올드 활에 맞먹는 높은 금액이 책정되어 있다.

 

▲테트-베쉬 활 프로그(손잡이)

 

새 활의 구입 시 유의사항

 

새 악기와 마찬가지로 새 활 역시 모든 파트의 모양새가 분명해야 한다. 앞서 언급했듯 활의 선택이라는 것은 어쩔 수 없이 ‘주관성’이 많이 작용하는 부분이라 어떤 것을 골라야 한다고 딱 잘라서 이야기할 수는 없다. 다만 보편적으로 가장 신경을 써야 하는 것은 Stick 이라 불리는 활대 그 자체이다. 금이나 귀갑, 상아로 아무리 치장해 놓은들 활대 자체가 나쁜 활은 아무 짝에도 쓸모가 없다. 활을 사는 것은 장신구나 귀금속을 구입하는 것처럼 이것이 얼마나 아름다운 물건이냐가 아니라 얼마나 좋은 나무로 얼마나 잘 만들어 놓았느냐를 선택하는 것이기에 활대 자체를 가장 중요시 여기고 봐야 한다. 대체로 밀도가 높은 활은 대가 상대적으로 얇을 것이고 낮은 활은 대가 두꺼울 것이다.

 

일반적으로 활끝으로 갈수록 대가 얇아질 경우 보다 기교적이고 음색이 가는 경우가 많으며 두꺼울 경우 좀 더 남성적인 느낌의 연주력을 들려줄 때가 많다. 악기와 달리 활의 생명인 활대가 부러지거나 파손되면 그 즉시 생명이 끝난 것으로 보아야 한다. 물론 오늘날의 뛰어난 수리 실력으로 깜쪽 같은 수리가 가능하겠으나, 한 번 부러진 활은 언제 다시 (그 부위가) 부러질지 모르며, 대개 1억 원을 호가하는 활조차도 몇 백만 원도 되지 않는 가격으로 곤두박질치기 십상이다.

 

악기는 부서져서 가루가 되지 않는 한 복원이 가능하며, 또 어느 정도 세월을 품고 있는 악기에서 이러한 상흔을 발견하는 것이 어려운 일이 아니나, 활은 이유여하를 막론하고 대가 부러졌다면 더 이상의 상품성은 없다고 보아야 한다. 기실 활털을 간다는 행위는 활에 매우 매우 위험한 행위(!)이다. 활털을 교체할 때마다 활이 상당한 위험에 노출된다는 사실을 아는 이들은 많지 않다. 본지에서도 오래 전 소개한 바 있는 베를린에 거주하는 프랑스 출신 활 제작자, 쥘 네어(Gilles Nehr)는 이러한 위험성에 대해 이야기하며 독자적인 테트 베쉬(Tete-Beche) 모델의 탄생 배경(활털 교환에 따른 위험성 제거)을 설명하기도 하였다.

 

▲Yannick Le Canu 바이올린 프로그

 

새 활의 디자인과 연주 스타일

새 악기와 마찬가지로 많은 새 활은 특정 모델의 카피이거나 혹은 독자적인 모델인 경우가 많다. 악기 카피는 외관이나 나무의 두께 등을 최대한 오리지널과 근접하게 제작하는 것으로 만족할 수밖에 없지만, 활은 비단 이러한 외형뿐만 아니라 오리지널 모델 활의 연주 느낌, 탄력, 밸런스 등도 유사하게 재현할 수 있다. 바로 이러한 매력과 장점 덕분에 새 악기에 대해서는 공공연히 거부감을 드러내는 전문 연주자들조차 새 활에 대해서는 우호적인 시각을 가지는 일이 가능한 것이다. 독자적인 모델의 경우라 하더라도 과거 프랑스 활 제작 전통에서 완전히 벗어나 새로운 것을 창조하는 것은 불가능하기에 제작자마다 기본으로 삼고 있는 모델이 있다.

 

그랑 아담(Grand Adam)을 베이스로 하는 야닉 르 까누(Yannick Le Canu)나 도미니끄 페카트(Domique Peccatte)를 바탕으로 하는 토마스 게어베트(Thomas M. Gerbeth), 그리고 프랑수와 뚜르뜨(François Tourte)를 모델로 삼는 그레고르 발브로트(Gregor Walbrdot) 등은 이러한 좋은 예이다. 필자는 앞서 언급했던 제작자, 티노 루케의 다양한 활들 -컬렉션에서부터 일반적인 모델에 이르기까지-을 테스트해 볼 기회가 있었는데 저마다 음색이나 테크닉이 조금씩 달랐다. 하지만 ‘이것이 티노 루케다’라고 할 수 있는, 전체를 관통하는 공통분모는 분명히 있었는데, 새 활을 구입한다면 이 부분에 대해 확실히 인지하고 접근을 시도해야겠다.

 

올드 활 역시 마찬가지겠지만, 새 활은 -지난 호에 언급했던 것처럼- 살아있는 제작자와 끊임없이 교류하고 그/그녀를 통해 활을 수정. 보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율리아 피셔에게서 힐러리 한의 연주를 기대할 수 없듯, 제작자는 저마다의 고유한 스타일이 있다. 그 스타일이 자신과 맞는 제작자를 찾아내 제작을 의뢰하는 것이 가장 현명한 처사일 것이다.

 

활의 모든 것_4편(마지막회)를 기대하세요.

 

▲바이올리니스트 김광훈 교수

 

[김광훈 교수]
독일 뮌헨 국립 음대 디플롬(Diplom) 졸업
독일 마인츠 국립 음대 연주학 박사 졸업
현) 코리안 챔버 오케스트라 정단원
한양대학교 음악대학 겸임 교수
전주 시립 교향악단 객원 악장
월간 스트링 & 보우 및 스트라드 음악 평론가

 

(제공 : 미디어파인)

저작권자 © 미디어협동조합 시그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0 / 400
댓글 정렬
BEST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수정
댓글 수정은 작성 후 1분내에만 가능합니다.
/ 400

내 댓글 모음